카테고리 없음

대장의 주요기능 및 소화 매커니즘

yurieee 2022. 1. 20. 10:44

지난번에 소화기관 메커니즘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오늘은 최종 관문인 대장의 주요기능 및 소화 메커니즘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식을 섭취하는 건 비교적 간단한 일처럼 보였지만, 우리 몸에서는 이렇게나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대장의 주요기능 및 소화 메커니즘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시작하겠습니다.

 

대장의 주요기능 및 소화 매커니즘

대장의 정의

대장(큰창자, large intestine) 또는 주름 창자라고 부르는 결장(colon)은 T자 형태의 접합부에서 소장과 연결되고 이 부분의 괄약근은 음식의 이동을 조절하게 됩니다. T자 한 팔을 이루는 작은 주머니를 맹장(막창자, cecum)이라고 부릅니다. 사람은 다른 포유류들과 비교해봤을 때, 비교적 작은 맹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맹장은 손가락 모양으로 튀어나왔으며 없어도 되는 충수입니다. 인간 결장의 주요 부분의 길이는 약 1.5m 정도를 띄고 있습니다.

대장의 기능

대장의 주요기능은 다양한 소화액의 용매로 사용되어 소화관으로 들어간 물을 재흡수하는 것입니다. 대략 7L의 액체가 소화관 내강으로 매일 분비되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보통 마시는 물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물의 대부분은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될 때 다시 흡수됩니다. 결장 안 소장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남은 물을 대부분 회수합니다. 소장과 결장은 소화관으로 들어간 물의 약 90%를 흡수하게 됩니다.

소화관의 노폐물 대변

대변(feces)은 연동운동으로 결장을 따라 움직이면서 점점 단단해집니다. 이 운동은 느리게 일어나며 대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동하는데에는 약 12시간에서 24시간 정도 걸립니다. 만약 결장 벽이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자극을 받으면 물이 정상보다 재흡수가 덜 되며 그 결과 설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상반되는 문제인 변비나 치질의 경우 연동운동이 너무 느리게 대변을 이동시킬 때 일어납니다. 이때 물이 과도하게 재흡수되면서 대변이 단단해지면서 치질로 발전하게 됩니다. 대장 안에는 여러 종류의 무해한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대장균은 대장에 사는 일반적인 세균의 하나로 분자생물학에서 활발하게 연구되는 균 중 하나입니다. 이 대장균은 주로 호수와 강에서 발견되며, 정화되지 않은 하수로 인한 오염의 지표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물질대사 부산물로 많은 결장 세균은 메탄과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만들기도 하는데요, 몇몇 세균은 비오틴, 엽산, 비타민K와 다양한 비타민B를 포함한 많은 비타민을 만듭니다. 이 비타민들은 혈액으로 흡수되어 비타민 섭취를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변이 나오는 과정

대변은 셀룰로오스와 다른 소화가 되지 않는 물질뿐만 아니라 많은 세균을 포함합니다. 비록 셀룰로오스 섬유가 인간에게 열량을 공급하지는 못하지만, 이 섬유는 소화관에서 음식물의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돕습니다. 결장의 끝부분을 곧창자라고 부르는 직장(recturm)이라고도 하는데, 이 부분은 대변이 배설될 때까지 저장을 하는 임시공간입니다. 결장과 항문 사이에는 2개의 괄약근이 있는데 하나는 불수의근이고 다른 하나는 수의근입니다. 매일 한 번 또는 여러 번 대장에서 강력한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우리는 대변을 보고 싶어 화장실로 뛰어가게 되는 최종 원리인 셈입니다.

요약

여기까지 대장의 주요기능 및 소화 메커니즘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음식이 소화관의 입에서부터 시작하여 항문으로 지나가는 것이 이렇게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지 잘 모르셨을 것입니다. 우리의 소화기관은 이렇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어느 한 곳이라도 이상이 생기게 되면 원활한 소화활동 및 대변 활동을 못하게 된다는 점을 아셨으면 합니다.